유머/이슈

조선 시대 범에 관해 흔히 하는 착각

컨텐츠 정보

  • 621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조선 시대 범에 관해 흔히 하는 착각

17537757348292.jpeg

 

흔히 "범"이라고 하면 시베리아 호랑이만 떠올리는데,

 

 

 

17537757352798.jpeg

 

조선시대에는 호랑이와 표범 모두 범이라 불렀음

특히 민간에서는 호랑이와 표범을 같은 종의 암수 차이로 생각했음

그래서 단순히 범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들은 우리가 아는 호랑이가 아닌 표범인 경우가 많음

 

 

 

17537757357044.jpeg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통계에 따르면 1919년부터 1943년까지 포획된 표범은 624마리로, 같은 기간 잡힌 호랑이(97마리)의 여섯 배를 넘었다고 함

이 때문에 1924년 강원도 횡성에서 사살된 호랑이를 끝으로 3·8선 이남 지역에서는 호랑이가 완전히 사라졌지만,

 

 

 

17537757361237.jpeg

 

개체 수가 많았던 표범은 해방 이후에도 3.8선 이남에서 살아남았음 1945년부터 1970년까지 18건의 표범 포획 기록이 남아 있다고 함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전체 2,019 / 69 페이지
번호
제목